반응형

사내하도급 2

사내 하도급(협력업체) vs. 불법파견 판단 기준

사내 하도급(협력업체) vs. 불법파견 판단 기준 진성 도급과 불법 파견의 판단이 중요한 이유와 판단 기준에 대해 포스팅한 바 있습니다. https://jyoon1867.tistory.com/10 도급과 파견의 판단 기준 도급 계약의 실질이 근로자 파견이라고 해석될 경우 '불법파견'에 해당하여 직접 고용 의무를 부담합니다.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파견법')은 말그대로 파견근로자를 보호하기 jyoon1867.tistory.com 그 중 지난 글에서는 사내 하도급(협력업체) vs. 불법파견 판단 기준 중 "업무상 상당한 지휘 명령"에 대한 포스팅을 작성했습니다. 1. 업무상 상당한 지휘 명령 2. 도급인 등의 사업에의 실질적 편입 3. 인사노무 관련 결정, 관리 권한 행사 4. 계약 목적의 ..

노무관리 2023.07.07

사내 하도급(협력업체) vs. 불법파견 판단 기준 - 업무상 상당한 지휘 명령

사내 하도급(협력업체) vs. 불법파견 판단 기준 - 업무상 상당한 지휘 명령 협력업체를 사용하는 도급 계약에서 실질이 도급인지, 아니면 형식은 도급이지만 불법 파견인지 문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불법 파견에 해당하는 경우 파견법상 처벌은 물론, 파견근로자에 대한 직접 고용 의무를 부담하게 됩니다. 아래의 글을 보시면 불법 파견 시 회사의 책임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사내 하도급으로 협력 업체를 사용하는 경우 불법 파견으로 해석되지 않도록 관리에 유의해야 합니다. https://jyoon1867.tistory.com/10 도급과 파견의 판단 기준 도급 계약의 실질이 근로자 파견이라고 해석될 경우 '불법파견'에 해당하여 직접 고용 의무를 부담합니다.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파견법..

노무관리 2023.07.0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