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내 괴롭힘

직장 내 괴롭힘 판단 - 과도한 업무 및 목표 설정

즐거운 노무사 2023. 8. 6. 09:36
반응형

직장 내 괴롭힘 과도한 업무 및 목표

 

업무와 관련된 행위일지라도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할 수 있다는 판례를 소개해드립니다.

 

 

https://jyoon1867.tistory.com/38

 

업무와 관련된 행동도 직장 내 괴롭힘이 될 수 있다!

직장 내 괴롭힘이라고 하면 보통 폭언, 폭행, 따돌림, 성희롱 등의 누가봐도 괴롭힘이라고 느낄만한 신체적, 정신적 괴롭힘 행위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반드시 폭언, 폭행 등이 아

jyoon1867.tistory.com

 

 

또한 지난 포스팅에서 비현실적인 성과 목표 설정 역시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업무 성과를 독려하는 것은 조직 리더의 역할이지만 성과를 내기 위한 질책이나 독려 역시 '업무상 적정 범위'를 넘는다면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https://jyoon1867.tistory.com/26

 

직장 내 괴롭힘 - 과도한 업무 부여 업무상 적정 범위 판단 기준

근로기준법상 직장 내 괴롭힘 판단 기준 중은 핵심은 행위자(가해자)의 행위가 '업무상 적정 범위'를 넘었는지입니다. 업무를 하다보면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업무에 대한 구체적 지시나 피드백

jyoon1867.tistory.com

 

근로기준법에서 직장 내 괴롭힘은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ㆍ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과도한 업무 부여는 근로자에게 지나치게 많은 업무를 강요하거나, 현실적으로 달성하기 어려운 불합리한 성과 목표를 설정하는 등 근로자에게 부담을 주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근로자들은 신체적인 스트레스와 지침, 정신적인 피로 등을 겪을 수 있으며, 이는 직장 내 괴롭힘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달성 가능하면서도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도록 독려하는 것이 팀 리더가 갖춰야할 리더십의 핵심입니다. 

 

결국 목표 수준의 적정성이 직장 내 괴롭힘 판단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조직 목표 달성을 위한 도전적인 목표 vs. 업무상 적정 범위를 넘은 직장 내 괴롭힘,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요?

 

 

과도한 업무 부여 vs. 적정 목표 수준 판단 기준

 

업무 부담과 합리성: 부여된 업무가 근로자의 능력과 역량을 넘어설 정도로 과도한지, 또는 합리적인 범위 내에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업무 명확성과 일관성: 부여된 업무의 내용과 목표가 명확하고 일관성이 있는지 확인하여 근로자가 업무를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합니다.

리소스와 지원: 근로자가 부여받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와 지원이 충분히 제공되었는지를 평가합니다.

업무 배분의 공정성: 업무 부담이 공정하게 분배되었는지를 확인하여 특정 근로자가 부담을 더 많이 갖게 되지 않도록 합니다.

성과 목표의 현실성: 설정된 성과 목표가 현실적이며 근로자의 노력과 능력으로 달성 가능한지를 판단합니다.

업무 관리와 지시의 명확성: 상사의 업무 관리와 지시가 명확하고 합리적인지를 확인하여 근로자의 혼란을 최소화합니다.

업무 일정과 우선순위: 근로자가 양질의 업무를 적절한 일정과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수행할 수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근로자와 상사 간의 의사소통: 근로자와 상사 사이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여 업무 부담과 관련된 이슈를 조율합니다.

반응형